1. 웹개발 프로젝트 마지막 정리

2. 최종 발표 및 회고 

 

 우선 그동안 못한 1~3일차까지의 이야기를 하자면

처음 1일차부터 웹개발 플러스 강의를 듣고, 그것을 기반으로 팀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 

나 포함 총 4명이었고, 팀 분위기는 좋았다. 

 

 다들 처음이라 시작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갈팡질팡하고 있었고 나또한 그랬다. 

우선 배포된 강의를 듣기로 하고 와이어프레임으로 구상한대로 각자 페이지를 맡아 기능 구현을 하기로 했다. 

내가 팀장이었지만, 나 또한 부족한게 많았기 때문에 팀원들에게 도움을 받은것도 많았고, 도움을 줬던것도 있었다. 

팀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깃과 깃헙을 이용해서 하면 수월한데 성민님 빼고 어려워했다. 

나는 항해에 참여하기전에 노마드코더를 통해 깃헙데스크탑으로 어느정도 숙지하고 갔기 때문에 가능은 했는데, 업무에서 능숙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배울게 많다는 것을 느꼈다. 

 

우선은 깃을 사용하는것을 미루고 그냥 깃헙에서 손수 수정하기로 했다.

맡은 페이지를 만들기 시작했고, 서로 오류난것들을 공유하고 해결해나가면서 어느정도 구현이 되었다. 

그 후 합치고 배포하는 일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느낀것은 개발에서 환경설정하는것이 시간도 많이들고 번거롭고 힘들다?정도는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더 힘들었던거 같다.

웹개발 플러스 강의가 만든지 좀 된 것 같기도 하지만, 잘안되는 오류들을 찾아보면서 알게되거나 리마인드된것도 있는것 같다. 

 

 ex) mongodb에서 db에서 find할때 id값으로 찾는데 이 id값을 objectId 처리 하는것을 이미 wetube 클론코딩에서 들어서 알고 있었지만, 당시에 오류가 떳을때는 전혀 몰랐다. 그런데 에러메시지를 통해 오류의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기억이나게되고 비교적 금방 해결할 수 있던것 같다. 

 

 처음 다인 프로젝트를 해봤는데, 늘 혼자서 공부하다가 다같이 공부하고 배운것을 이용하는 경험은 더 동기부여가 되고, 책임감과 압박감을 주는 것 같다. 나한테는 이 스트레스가 나쁜것보다 좋은 방향으로, 성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 같아 기분이 좋은 느낌도 받았다. 

 

기술적인 부분을 조금 작성해보자면 

우리는 풀스택 미니 프로젝트를 한 것이다. 

flask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들고, 셀레니움을 이용하여 유기동물보호소의 data를 mongodb에 저장해서 연결하고, jinja2를 이용해 SSR을 하고, ajax를 통해 비동기 통신을 하였다. 

https://github.com/SpartaClassD2Jo/FindHand

 

GitHub - SpartaClassD2Jo/FindHand

Contribute to SpartaClassD2Jo/FindHa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협력해서 만들었다는 점이 뿌듯하지만, 아쉬운점은 기획했던 기능들을 전부 다 구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아쉬운 기능들은, 검색기능, 좋아요기능, 프로필페이지에 대쉬보드를 만들어 저장한 동물들을 모아 볼 수 있는 기능.. 등등 

나중에 토이프로젝트로 혼자서 만들 수 있을 것 같아 시간이 나면 시도해보도록 하겠다. 

JWT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구현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부분이 맡은 부분이 아니고, 프로젝트 완성에 집중하느라 내가 맡은 페이지와 도움을 주는데에 시간을 많이 썼다. 그래서 JWT는 복습을 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오늘은 이번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내일 새로운 발제를 받게된다.

다음 커리큘럼은 알고리즘 기초라고 하는데, 담임매니저님께서는 그런것보다 반복문, 조건문등에 좀 더 친숙해지고,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간이라고 들었다. 

 

우선 조원들도 다 착하고, 서로 협력하려하는 마음가짐을 갖고 있어서 좋았다. 다음에 만날 조도 좋은 팀원들을 만나 한층더 성장하고 경험을 쌓았으면 좋겠다. 

 

개선할점

1. 트러블슈팅 내역 기록  

2. 나름 적극적으로 한다고 했지만, 내 기준에서는 아직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다.

   - 좀 더 resourcefulness한 사람이 되도록 하자.

3. JS 문법 공부

  - 이번프로젝트 때, jqeury를 써서 크게 걸린점은 없었지만, 앞으로 알고리즘 주차를 위해 

4.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을 어느정도 기록해놓자.

  

 

 

 

 

 

 

 

+ Recent posts